-
[ 목차 ]

사랑스러운 아기와의 첫 만남, 기쁨도 잠시 서툰 육아에 궁금한 것 투성이죠? 특히 매 수유 후마다 씨름하는 신생아 트림! 꼭 해야 하는지부터 올바른 자세와 시간까지, 초보 엄마 아빠의 모든 궁금증을 속 시원하게 해결해 드릴게요. 아기가 수유 후 편안하게 잠들고, 역류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 과정인 트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우리 아기의 편안한 속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든 부모님을 응원합니다!

신생아 트림, 왜 꼭 시켜야 할까요?
아기들은 어른과 달리 위 모양이 수직에 가깝고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괄약근의 힘이 약해 수유 후 쉽게 토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젖병이나 엄마 젖을 빨 때 생각보다 많은 공기를 함께 들이마시게 되는데요. 이 공기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으면 아기는 속이 더부룩해 불편함을 느끼고, 밤에 잠 못 들게 하는 배앓이(영아산통)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신생아는 위장 기능이 미숙해 스스로 공기를 배출하기 어려우므로, 부모가 트림을 통해 소화를 돕고 불편함을 줄여줘야 합니다. 이는 아기의 편안한 수면과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초보 부모도 전문가처럼! 신생아 트림시키는 올바른 자세 3가지
아기 트림 시키기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몇 가지 대표적인 자세를 시도해보세요. 아기와 부모 모두에게 가장 편안한 자세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어깨에 기대어 안기

가장 일반적이고 안정적인 자세입니다. 아기를 수직으로 세워 안아 아기 머리가 보호자의 어깨에 오도록 합니다. 한 손으로는 아기 엉덩이와 등을 단단히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등을 아래에서 위로 쓸어 올리거나 손바닥을 오목하게 만들어 부드럽게 토닥여 주세요. 이때, 아기가 토할 수 있으니 어깨에 미리 가제 손수건을 올려두는 센스를 잊지 마세요.
2. 무릎에 앉히기

보호자의 허벅지 위에 아기를 앉히는 자세입니다. 한 손으로 아기의 가슴과 턱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고, 몸을 살짝 앞으로 기울게 합니다. 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등을 부드럽게 두드려 주세요. 이때 아기의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턱 아래를 잘 지지해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3. 무릎에 엎드리기
허벅지 위에 아기를 엎드린 자세로 눕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기의 배가 허벅지에 닿도록 하고, 머리가 가슴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조절해 주세요. 그 다음 등을 부드럽게 문지르거나 토닥여 줍니다. 이 자세는 배에 자연스러운 압력을 가해 가스 배출에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신생아 트림에 대한 모든 궁금증 Q&A
| 구분 | 핵심 내용 |
|---|---|
| 트림 시간 | 수유 중간(모유수유는 가슴을 바꿀 때)과 수유 직후, 약 5분에서 15분 정도 충분히 시도합니다. |
| 트림 소리 | '꺼억'하는 큰 소리가 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조용히 바람 빠지는 소리가 나거나, 아기가 편안해 보이면 됩니다. |
| 잠들었을 때 | 수유 후 잠들었더라도 바로 눕히지 말고, 10~15분 정도 안아서 등을 토닥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
| 트림을 안 할 때 | 15분 정도 시도해도 트림을 하지 않고 아기가 편안해 보인다면, 역류 방지를 위해 머리를 살짝 높여 옆으로 눕혀주세요. |
Q1. 트림은 얼마나, 언제 시켜야 할까요? (시간)

수유 중간과 수유 직후, 약 5분에서 15분 정도 충분히 시도해 주세요. 분유 수유의 경우 60~90ml 정도 먹은 중간에 한번, 다 먹고 난 후에 한번 시켜주는 것이 좋고, 모유 수유의 경우 한쪽 젖을 다 먹고 다른 쪽으로 옮기기 전에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아기가 트림을 안 해요, 어떡하죠?

모든 아기가 수유 때마다 공기를 많이 삼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트림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 15분 정도 여러 자세로 시도해 보았는데도 트림을 하지 않고 아기가 보채지 않는다면 괜찮습니다. 다만, 바로 눕히기보다는 역류할 경우를 대비해 상체를 약간 높여주거나 얼굴을 옆으로 돌려 눕히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꼭 '꺼억' 소리가 나야 하나요? (소리)
아닙니다. 트림의 목표는 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아기 위 속의 공기를 빼주는 것입니다. 어른처럼 시원한 소리가 나기도 하지만, 조용히 '피식'하고 바람만 빠져나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트림 소리에 집착하기보다는 아기의 표정이 편안해졌는지, 몸에 힘을 빼고 있는지 등을 살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Q4. 자는 아기도 깨워서 트림시켜야 하나요?

네, 가급적 트림을 시키고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 후 잠든 아기를 깨우는 것이 안쓰러울 수 있지만, 트림을 하지 않고 자면 가스로 인해 더부룩함을 느껴 깊은 잠을 자기 어렵고, 자다가 깨서 울며 보챌 수 있습니다. 아기를 깨우지 않고 조심스럽게 안아 올려 등을 쓸어주는 것만으로도 트림이 나오기도 하니 부드럽게 시도해 보세요.

사랑으로 토닥이는 교감의 시간
신생아 트림은 단순히 가스를 배출하는 행위를 넘어, 부모와 아기가 교감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서툴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기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등을 토닥여주는 것만으로도 아기는 충분한 안정감을 느낀답니다. 초보 부모의 길은 서툴고 어렵지만, 아기를 사랑하는 마음만은 전문가랍니다. 매일 밤낮으로 고생하는 모든 부모님들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